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소식

  • 전체 118
  • 현재 페이지 1/12
1 행사
지난 4.16~20일에 대전 컨벤션센터 및 엑스포시민광장 일원에서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가 개최되었습니다. 올해 축제는 '대한민국 과학축제'와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을 통합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었습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부스 내에서 국가바이오데이터스테이션(K-BDS) 및 바이오소재정보종합플랫폼(BioOne)을 홍보하였습니다.
  • 작성일2025-04-22 07:26:56
  • 조회수54
KOBIC,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에 참여
2 기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는 바이오경제의 이해를 돕는 입문서인 <바이오경제 바로 알기>(Understanding the Bioeconomy)를 발행하였습니다. KOBIC의 장기원, 전종범, 정해영, 조수복 박사가 공저자로 참여하여 제3장 '바이오경제의 주요 기술' 중 bioinformatics와 관련한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작년 말부터 원고 작성 및 수정에 힘써 주신 공저자께 감사를 드립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Part 1 바이오경제시대가 열린다 세계적으로 부상하는 바이오기술 바이오경제란 무엇인가? 바이오경제, 왜 필요한가? Part 2 바이오경제와 바이오산업의 생태계 역사로 살펴본 바이오산업 생태계 바이오산업의 이해, 가치사슬을 알아야 보인다 가치사슬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바이오산업 생태계 분야별로 살펴본 바이오산업의 다양성 Part 3 바이오경제의 주요 기술 바이오기술을 이해하는 데 알아야 할 모든 것 정보기술이 된 바이오기술 생명이라는 기계를 생명이라는 공장으로 모든 환자에게 꼭 맞는 치료를 가속화된 진화 육종, 환경 재앙에 대비하다 Part 4 바이오산업의 미래 미래 세대를 위한 바이오기술 바이오경제가 극복해야 할 과제 바이오혁명, 어떻게 준비할까 본 도서(ISBN 978-89-6709-222-1)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재직하셨던 이대실 박사님의 출판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으며, 비매품입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은 각 저자 또는 지식정보실 김정아 선생님께 문의하십시오.
  • 작성일2025-04-17 10:56:36
  • 조회수206
도서 [바이오경제 바로 알기] 발행
3 기타
KOBIC은 바이오소재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전하고, 선정된 분야의 논문 및 특허를 분석한 <바이오소재 뉴스레터>를 매달 1회에 전하고 있습니다. 이번달에는 2025년 4월 뉴스레터가 발행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바이오소재 분야의 전문성 있는 소식을 전하고자 노력하겠습니다. 해당 자료는 바이오소재 총괄지원단 뉴스레터 자료실에서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 작성일2025-04-10 09:47:34
  • 조회수123
바이오소재 뉴스레터(2025년 4월호) 발행
4 기타
2025. 03. 27. 국가바이오데이터스테이션(K-BDS) 현황에 대한 분기별 소식지인 K-BDS Brief의 2025년 제1호가 발간되었습니다. k-bds
  • 작성일2025-03-28 14:50:08
  • 조회수195
[K-BDS Brief] 뉴스레터 2025년 1호 발행
5 행사
KOBIC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충권 의원이 주최하고 KISTI가 주관한 「국가연구데이터 관리·활용 촉진」 법제화 추진을 위한 토론회에 참석하였습니다. 3월 1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이번 토론회에 패널 토론자로 참석한 정해영 센터장은 이미 KOBIC이 바이오 분야의 연구데이터 리포지토리 역할을 충실히 해 왔다고 소개하고, DMP의 이행 여부 점검이 시스템화되어 있지 않고 그 주체가 불분명하다는 현장의 애로사항을 전달하였습니다. 아울러서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인체유래데이터 중 연구데이터 또는 성과물로 국내 리포지토리에 등록된 것은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가이드 라인의 적용 대상이 아니라서 2차적 활용이 매우 어려우므로 이와 관련한 규제가 완화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제공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 작성일2025-03-18 08:54:27
  • 조회수242
국가연구데이터 관리·활용 촉진 법제화 추진을 위한 국회 토론회 참석
6 기타
KOBIC은 바이오소재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전하고, 선정된 분야의 논문 및 특허를 분석한 <바이오소재 뉴스레터>를 매달 1회에 전하고 있습니다. 이번달에는 2025년 3월 뉴스레터가 발행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바이오소재 분야의 전문성 있는 소식을 전하고자 노력하겠습니다. 해당 자료는 바이오소재 총괄지원단 뉴스레터 자료실에서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 작성일2025-03-11 11:17:42
  • 조회수253
바이오소재 뉴스레터(2025년 3월호) 발행
7 행사
KOBIC 센터장 및 생명자원실 전 인원은 '25.03.04.(화), 경북 상주에 있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을 방문하였다. 오전에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의 생물 표본 보존 및 관리 등을 살펴보기 위해 담수생물자원은행의 동물액침표본수장고 등을 관람하고, 오후에는 세미나실에서 K-BDS 등록 시 미생물 data 이슈 관련 발표(정해영 센터장)와 BioOne 발표(진태은 실장)을 실시하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일원들의 K-BDS와 BioOne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이후 생명자원실의 '25년도 및 향후 5년간 업무계획 로드맵 수립 및 업무 관련 논의를 진행하는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 작성일2025-03-06 10:06:16
  • 조회수263
KOBIC,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방문
8 보도자료
□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 연구진(조수복 박사, 전종범 박사, 김종환 박사, 이동윤 연구원)이 Matlab AI 모델 챌린지에서 다작상을 수상했다. ㅇ 지난 2월 27일 Mathworks는 참신한 주제의 프로젝트들을 다수 제출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BIC 팀의 AI 모델 챌린지 다작상 수상소식을 전하며, 특히 공개 유전체 데이터인 1K Genomes Project의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하고, 깃 라지 파일 스토리지(Git-lfs)를 통한 데이터셋을 활용한 점 등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 작성일2025-03-05 16:14:15
  • 조회수330
KOBIC 연구팀, Matlab AI 모델 챌린지 다작상 수상
9 기타
KOBIC에서는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 구축 사업의 유전체 데이터 생산기관 컨소시엄의 각 업체를 방문하여(2025년 2월 24일 테라젠 바이오, 26일 마크로젠,DNA링크,CG인바이츠) 데이터 생산 및 분석 준비 과정을 점검하고 데이터가 생산되는 유전체 데이터 생산 기기 및 관련 실험 기기를 확인하였습니다. 이후 데이터 생산, 분석, 품질관리 및 연계 등 사업 관련 주요 실무에 대하여 논의하였습니다.
  • 작성일2025-02-27 10:20:17
  • 조회수303
KOBIC,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 구축 사업 생산기관 컨소시엄 방문 회의
10 행사
바이오(Bio) 소재 연구자들이 관련 정보를 알기 쉽게, 찾기 쉽게,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길라잡이로서 역할을 해 온 '바이오소재 정보 통합플랫폼(BioOne)'을 새롭게 단장했다. BioOne 현장교류회는 2월 25일 오후 2시부터 충북 청주시 청원구에 있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창분원에서 열렸다. 과기정통부는 "바이오소재 분야에서도 고품질 실물 소재와 함께 소재 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바이오소재는 첨단바이오 산업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의 필수재로 인식되고 있으나 다양한 정보(논문, 특허, 연구데이터 등)의 홍수 속에서 연구에 적합한 고부가 가치 소재를 검색하고 활용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BioOne은 2024년 3월 1차 오픈한 이후 모델동물, 미생물, 종자 등 범부처 9개 바이오소재 클러스터를 연계 완료했으며, 현재는 국외 논문 3800만 건, 국내 논문 8만3200건, 소재 정보 39만 건, 국내외 특허 178만 건, 지식정보(질병, 약물, 타겟) 11만 건, 연구데이터 1만2000건 등에 대한 통합검색 및 소재 분양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기존 바이오소재 정보 통합플랫폼에서는 3개 분야 소재 정보 연계·제공, 국외 논문, 단순 검색·분양만 이뤄졌지만, 이를 개선해 9개 소재 클러스터 정보 연계·제공, 국내외 논문 및 특허 정보 제공, 소재·논문·특허 네비게이션·분양 기능 등이 확대됐다. 이날 개최된 바이오소재 현장 교류회에서는 연구소재를 활용하는 산·학·연 전문가와 함께 ▲BioOne 구축 경과 및 운영방향에 대한 보고 및 시연 ▲바이오소재 활용 촉진 방안에 대한 토론 ▲모델동물 보존·연구시설 현장 방문이 진행됐다. 관련기사: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106040&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 작성일2025-02-27 09:10:36
  • 조회수236
KOBIC, 바이오소재 정보 통합플랫폼(BioOne) 현장교류회 개최
TOP